본문 바로가기
IT★자격증/정보시스템감리사 기출문제 풀이

2023년 제 24회 정보시스템 감리사 기출문제 풀이 - 데이터베이스(51-55)

by 꼬모부 2023. 12. 1.
728x90

[오늘부터 데이터베이스 기출문제 51-55를 풀어보겠습니다.]

 

문제 51

51. ISO 8000의 데이터 품질 기준 관련하여 다음 괄호안에 적합한 용어는?

( ) 오류는 데이터가 표준 코드 값 또는 표준 도메인 값에 위배될 경우 발생한다.

① 충분성
② 사실성
③ 적합성
④ 필수성 

 

출제의도

ISO 8000의 데이터 품질 기준 중 하나인 '적합성’에 대한 이해를 검증하는 것입니다.

 

각 항목에 대한 설명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 충분성: 데이터가 특정 목적을 달성하기에 충분한 정보를 제공하는지를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고객 데이터베이스에서 고객의 전체 이름, 연락처 정보, 주소 등이 모두 포함되어 있는지를 확인합니다.

 

② 사실성: 데이터가 현실 세계를 정확하게 반영하는지를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제품 데이터베이스에서 제품의 가격, 사양, 재고 상태 등이 정확한지를 확인합니다.

 

③ 적합성: 데이터가 표준 코드 값 또는 표준 도메인 값에 맞는지를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국가 코드가 ISO 3166-1 알파-2 표준에 따라 입력되었는지를 확인합니다.

 

④ 필수성: 데이터가 필수적으로 필요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지를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직원 데이터베이스에서 직원의 고유 식별자, 이름, 직위 등 필수 정보가 모두 포함되어 있는지를 확인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데이터가 표준 코드 값 또는 표준 도메인 값에 위배될 경우 발생하는 오류를 설명하고 있으므로, ③ 적합성이 가장 적절한 답변이 됩니다.

 

부연설명

ISO 8000은 데이터 품질에 대한 국제 표준입니다. 이 표준은 데이터의 품질을 평가하고 향상하기 위한 기준을 제공합니다.

 

ISO 8000의 데이터 품질 기준은 다음과 같은 주요 요소를 포함합니다:

  • 정확성: 데이터가 현실 세계의 상태를 정확하게 반영하는지를 나타냅니다.예를 들어, 제품의 가격이나 사양이 정확한지, 고객의 연락처 정보가 최신인지 등을 확인합니다.
  • 완전성: 데이터가 필요한 모든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지를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고객 데이터베이스에서 고객의 전체 이름, 연락처 정보, 주소 등이 모두 포함되어 있는지를 확인합니다.
  • 일관성: 데이터가 시간과 공간에 걸쳐 일관되게 유지되는지를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데이터베이스의 여러 부분에서 동일한 고객의 정보가 일관되게 표현되는지를 확인합니다.
  • 적시성: 데이터가 필요한 시점에 사용 가능한지를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재고 관리 시스템에서 실시간 재고 상태를 정확하게 반영하는지를 확인합니다.
  • 적합성: 데이터가 표준 코드 값 또는 표준 도메인 값에 맞는지를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국가 코드가 ISO 3166-1 알파-2 표준에 따라 입력되었는지를 확인합니다. 이러한 기준들은 데이터의 품질을 평가하고 향상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데이터 품질이 높을수록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의사결정의 정확성과 신뢰성이 향상됩니다.

 

따라서 ISO 8000은 데이터 중심의 조직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문제 52

52. 고정 길이 레코드 방식을 사용할 때, 레코드의 길이가 300 바이트, 블록의 크기가 4096 바이트, 블록 헤더의 길이가 12 바이트라고 가정한다. 다음 중 15개의 레코드를 저장하는 상황을 잘 표현한 것은?

① 첫 번째 블록에는 196 바이트가 남는다.
② 두 번째 블록에는 3,484 바이트가 남는다.
③ 두 번째 블록에는 3,494 바이트가 남는다.
④ 두 번째 블록에는 3,784 바이트가 남는다. 

 

출제의도

고정 길이 레코드 방식을 사용할 때 블록 내에 저장할 수 있는 레코드의 수와 남는 공간을 계산하는 능력을 검증하는 것입니다.

 

각 문항에 대한 설명과 계산은 다음과 같습니다:

먼저, 블록의 사용 가능한 크기를 계산해야 합니다. 블록 헤더의 길이를 블록의 전체 크기에서 빼면 됩니다.

즉, 4096 바이트(블록의 크기) - 12 바이트(블록 헤더의 길이) = 4084 바이트(블록의 사용 가능한 크기). 그런 다음, 이 사용 가능한 공간에 얼마나 많은 레코드를 저장할 수 있는지 계산합니다. 이를 위해 사용 가능한 공간을 레코드의 길이로 나눕니다.

 

즉, 4084 바이트(사용 가능한 공간) / 300 바이트(레코드의 길이) = 13.61. 이는 한 블록에 13개의 레코드를 저장할 수 있음을 의미하며, 소수점 이하를 버립니다.

 

따라서, 15개의 레코드를 저장하려면 두 개의 블록이 필요합니다.

첫 번째 블록에는 13개의 레코드가 저장되고, 두 번째 블록에는 나머지 2개의 레코드가 저장됩니다.

각 블록에서 남는 공간을 계산하려면 레코드의 총 길이를 사용 가능한 공간에서 빼면 됩니다.

 

첫 번째 블록에서는 4084 바이트 - 13 * 300 바이트 = 4084 바이트 - 3900 바이트 = 184 바이트가 남습니다.

두 번째 블록에서는 4084 바이트 - 2 * 300 바이트 = 4084 바이트 - 600 바이트 = 3484 바이트가 남습니다.

 

따라서, 올바른 답변은 ② 두 번째 블록에는 3,484 바이트가 남는다입니다.

 

문제 53

53. 다음 ERD(Entity Relationship Diagram)에서 수퍼키(superkey)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단, Registration과 Vehicle_id는 각각 후보키이다.) 
① (State, Year, Model)
② (Vehicle_id, Number)
③ (Registration, State)
④ (Registration, Vehicle_id, Year) 

 

출제의도

위 문제에 대해서 정리해서 다시 올리겠습니다.

정답은 ① (State, Year, Model) 입니다.

 

수퍼키는 유일성과 최소성을 모두 만족하는 속성들의 집합입니다.

  • 유일성: 각 데이터 레코드에 대해 고유한 값을 가져야 합니다.
  • 최소성: 수퍼키의 속성들을 제외하면 유일성을 만족하지 않아야 합니다.

각 문항에 대해서 설명드리겠습니다.:

① (State, Year, Model)

유일성을 만족하지만, 최소성을 만족하지 않습니다. State, Year 만으로도 유일성을 만족하기 때문입니다.

 

② (Vehicle_id, Number)

유일성과 최소성을 모두 만족하므로 수퍼키에 해당합니다.

 

③ (Registration, State)

애매합니다.

유일성을 만족하지만, 최소성을 만족하지 않기 때문에 수퍼키에 해당되지 않는거 같습니다.

하지만, 문제에서 (단, Registration과 Vehicle_id는 각각 후보키이다.) 라고 명시되어 있는데, (Registration, State)는 후보키의 부분집합이기 때문에 수퍼키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④ (Registration, Vehicle_id, Year) 

유일성과 최소성 모두 만족하므로 수퍼키에 해당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①과 ③인거 같은데... 답지에는 ①번인것 같습니다.

 

부연설명

[* 출처, 해시넷의 키구조 - 수퍼키]

 

문제 54

54. 릴레이션 R과 S에 대하여 |R| = 7, |S| = 6이다. 다음 릴레이션 연산결과의 상한값 중 가장 작은 값은?

① |R∪S|
② |R∩S|
③ |R-S|
④ |R×S| 

 

출제의도

릴레이션에 대한 기본적인 집합 연산을 이해하고, 각 연산의 결과로 나올 수 있는 튜플의 수를 추정하는 능력을 검증하는 것입니다.

 

각 항목에 대한 설명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 |R∪S|: 릴레이션 R과 S의 합집합을 나타냅니다. 이 연산의 결과는 R과 S에 있는 모든 고유 튜플을 포함합니다. 따라서 결과의 상한 값은 |R|와 |S|의 합인 7 + 6 = 13이 될 수 있습니다.

 

② |R∩S|: 릴레이션 R과 S의 교집합을 나타냅니다. 이 연산의 결과는 R과 S에 모두 있는 튜플만을 포함합니다. 따라서 결과의 상한값은 |R|와 |S| 중 작은 값인 6이 될 수 있습니다.

 

③ |R-S|: 릴레이션 R에서 S를 뺀 차집합을 나타냅니다. 이 연산의 결과는 R에는 있지만 S에는 없는 튜플만을 포함합니다. 따라서 결과의 상한값은 |R|인 7이 될 수 있습니다.

 

④ |R×S|: 릴레이션 R과 S의 카테시안 곱을 나타냅니다. 이 연산의 결과는 R의 모든 튜플과 S의 모든 튜플의 조합을 포함합니다.

 

따라서 결과의 상한 값은 |R|와 |S|의 곱인 7 * 6 = 42가 됩니다.

따라서, 릴레이션 연산 결과의 상한값 중 가장 작은 값은 ② |R∩S|입니다.

 

문제 55

55. ER 모델의 약한 개체(weak entity)에 대한 설명 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자기 자신의 키 속성을 가지지 않는 개체 타입을 약한 개체 타입이라고 한다.
② 약한 개체를 강한 개체와 연결시키는 관계 타입을 식별 관계라고 부른다.
③ 약한 개체가 식별 관계에 대해 전체 참여 제약을 가질 필요는 없다.
④ 모든 존재 종속(existence dependency)이 약한 개체 타입이 될 필요는 없다. 

 

출제의도

ER 모델에서 약한 개체(weak entity)에 대한 이해를 검증하는 것입니다.

 

각 항목에 대한 설명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 자기 자신의 키 속성을 가지지 않는 개체 타입을 약한 개체 타입이라고 한다.:

이 설명은 옳습니다. 약한 개체는 자체적으로 고유성을 확보할 수 없으며, 다른 개체와의 관계를 통해 식별됩니다.

 

② 약한 개체를 강한 개체와 연결시키는 관계 타입을 식별 관계라고 부른다.:

이 설명도 옳습니다. 식별 관계는 약한 개체를 강한 개체와 연결시키는 관계를 말하며, 이를 통해 약한 개체가 고유하게 식별됩니다.

 

③ 약한 개체가 식별 관계에 대해 전체 참여 제약을 가질 필요는 없다.:

이 설명은 옳지 않습니다. 약한 개체는 식별 관계에 대해 전체 참여 제약을 가집니다. 즉, 약한 개체의 모든 인스턴스는 반드시 식별 관계에 참여해야 합니다.

 

④ 모든 존재 종속(existence dependency)이 약한 개체 타입이 될 필요는 없다.:

이 설명은 옳습니다. 존재 종속은 개체가 다른 개체에 종속적인 상황을 나타내지만, 이는 반드시 약한 개체 타입이 되는 것은 아닙니다.

 

따라서, ER 모델의 약한 개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③ 약한 개체가 식별 관계에 대해 전체 참여 제약을 가질 필요는 없다.입니다.

 

[다음 시간에는 데이터베이스 기출문제 56-60까지 풀어보도록 하겠습니다.]

반응형
LIST